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첫 번째 주제 갈까요? <br><br>'일요일의 남자' 안철수 전 대표 얘기인데요. <br> <br>먼저 왜 일요일의 남자인지 보여드리겠습니다. <br><br>Q. 일요일마다 일을 냈네요. 그런데 귀국날도 이번주 일요일이라는 거죠? (네 맞습니다.) 일요일을 좋아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? <br><br>아무래도 주말에 뉴스 양이 적다 보니 더 주목을 받을 수 있겠죠. 하지만 이번에는 일부러 일요일을 맞춘 건 아니라고 합니다. <br><br>Q. 역시 가장 궁금한 건 무슨 말을 하면서 복귀할까, 일텐데 힌트라도 있습니까? <br><br>일단 어제 신간 출간을 앞두고 독자들에게 보낸 메시지가 있습니다. <br><br>컴퓨터 바이러스를 잡다가 지금은 낡은 정치 바이러스를 잡고 있다, 바이러스 잡는 게 팔자인 것 같다,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Q. 여전히 좀 모호한데요. 보수 통합에 합류하게 될까요? 아니면 제3의 길을 가게 될까요? <br><br>아직까지도 정치권의 시각은 엇갈립니다. <br> <br>#싱크: 박지원 대안신당 의원 (지난 10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 <br>안철수 전 대표는 본래 보수인데 대통령 되려고 진보로 위장 취업했다가 다시 회귀하는 거예요. <br> <br>#영상: <br>이태규 / 바른미래당 의원 (오늘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 <br>그분(박지원 의원)의 그냥 개인적인 저는 만담 수준이라고 봅니다. (안철수 전 대표는) 보수 아닙니다. <br><br>진행자 <br>보수 통합에도 참여 않는다. <br><br>이태규 / 바른미래당 의원 <br>그렇습니다. <br><br>Q. 안 전 대표의 측근인 이태규 의원은 제3의 길이다, 이렇게 단언하네요. <br><br>문제는 당장 안 전 대표와 함께 할 세력이 많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. 또 총선까지의 시간도 절대적으로 부족하죠. 다만 안 전 대표의 옛 멘토였던 김종인 전 대표가 어제 이런 말을 했습니다. <br><br>지금이 제3 정치세력이 출현할 적기다. 이렇게 말한 건데요, <br> <br>'일요일의 남자'가 이번 일요일에 어떤 답을 내놓을지 함께 지켜보시죠. <br><br>Q. 다음 주제 갈게요. <br><br>오늘로 총선이 딱 90일 남았는데요, 현재까지 예비후보 등록을 가장 많이 한 정당은 어디일까요? <br><br>Q. 당연히 민주당이나 한국당 아닐까요? <br><br>화면을 같이 보실 텐데 깜짝 놀라실 겁니다. <br><br>오늘 오후 5시 현재 예비후보자는 모두 1550명입니다. <br> <br>민주당과 한국당은 거의 비슷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압도적으로 예비후보자가 많은 정당이 있습니다. <br> <br>바로 국가혁명배당금당입니다. 당 이름이 낯설 텐데요, <br> <br>당 대표는 바로 이분입니다. <br><br>Q. 허경영 씨죠. 어떻게 이게 가능한거죠? 실화입니까? <br><br>세종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세종시 현역의원인데, 이 대표는 불출마를 선언했죠. 주인이 없다보니 현재 예비후보만 33명에 이릅니다. <br><br>그런데요, 33명 후보자 중 22명이 국가혁명당 소속입니다. 지금 보시는 것처럼 혁명당 소속 예비후보가 끝도 없죠. <br><br>Q. 국가혁명당 예비후보자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궁금하네요. <br><br>제가 국가혁명당의 모든 예비후보자 면면을 살펴보진 못했지만 일부 후보자들은 문제가 있어 보였습니다. 부산 지역에 등록한 한 예비후보자는 살인 전과가 있었습니다. 또 광주 지역에 등록한 다른 예비후보자는 성폭행 전과가 있더군요. <br><br>Q. 그런 전과가 있으면 웬만한 정당에선 공천 못 받잖아요? <br><br>허경영 대표는 지난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국가혁명당 후보자들의 경력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, 이런 지적을 받자 발끈했습니다. <br> <br>#영상: 허경영 / 국가혁명배당금당 대표 (지난 9일) <br>국가혁명당 입후보자들 학력 높습니다. 또 하나 나한테서 3년 교육을 받았어요. 아주 전문가들이 다 돼 있습니다. 지금 저런 정치인들이랑 달라요. <br><br>Q. 허경영 대표가 지역구 당선은 힘들테고, 비례후보로 나선다고 가정할 경우, 정당 득표 3%를 얻으면 당선되잖아요. 원내 진입 가능성이 있을까요? <br><br>글쎄요, 선거는 뚜껑을 열어보기 전엔 알 수 없죠. 다만 2007년 17대 대선 당시 허경영 대표의 득표율은 0.4%로 3%에는 한참 못 미쳤습니다. 하지만 현재 허경영 대표, 자신감이 넘칩니다. <br> <br>#영상: 허경영 / 국가혁명배당금당 대표 (지난 9일) <br>어떤 후보가 그 지역에 나갔든 그 자는 허경영을 대리하는 자입니다. 그럼 허경영이 국회 들어가요? 안 들어가요? (들어가요!) 나 따라다녀야 공중부양을 보여줄 거 아니야.<br> <br>허경영 대표 하면 황당한 공약으로 유명한데요, 문제는 그 황당했던 공약들이 몇 년 뒤 실제 이뤄졌다는 겁니다. 노인 수당이나 출산 수당이 대표적인데요, 그만큼 정치권이 포퓰리즘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의미겠죠. <br> <br>오늘의 한 마디는 '허경영의 놀라운 예지력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<br>Q. 네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